본문 바로가기
삶을 즐기자/인물 이야기

[일지매와 관련된 실제 역사] 첫번째 - 광해군

by AlchemistNZ 2008. 5. 22.

일지매와 관련된 역사들을 찾아보는 것도 재밌을거 같아서 한번 시도해 볼까 합니다.

닥본사 못하는 아쉬움을 이렇게나마 달래보려구요.

 

먼저 인조반정의 희생양(?)이었던 광해군으로 시작합니다.

 

조선의 제15대 왕(재위 1608~1623). 임진왜란 기간 동안 국가 안위를 위해 많은 공을 세웠으며, 전쟁이 끝난 후 대북파의 지지를 얻어 왕이 되었다. 즉위 후 당쟁의 폐해를 억제하려 하였으나 대북파에게 책동되었으며 인조반정으로 유배되어 죽었다. 서적 편찬, 사고 정비, 대동법을 실시하였으며 명, 후금과 양면외교정책을 행했다.
본관 전주
본명 이혼()
별칭 휘 혼
활동분야 정치

광해군묘

 

조선왕조 제15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1608년에서 1623년까지이다. 이름은 이혼(), 본관은 전주, 선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이며 비()는 판윤 유자신()의 딸이다.

세자 책봉 문제로 임해군과 갈등을 빚었으나 1592년 임진왜란이 발생하였을 때 국난에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피난지 평양에서 세자에 책봉되었다. 선조와 함께 의주로 피난을 가다가 영변()에서 갈라졌다. 선조는 의주로 향하고 광해군은 권섭국사()의 직위를 맡아 분조()의 책임자로 평안도 지역으로 출발하였다. 임진왜란 기간 중에 평안도·강원도·황해도 등지를 돌면서 민심을 수습하고 왜군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를 모집하는 등 적극적인 분조활동을 전개하였다. 서울을 수복한 후 무군사()의 업무를 담당하여 수도 방위에도 힘을 기울였다. 1597년 정유재란(임진왜란 중 왜군의 2차 침략을 따로 부르는 말)이 일어났을 때는 전라·경상도로 내려가 군사들을 독려하고 군량과 병기 조달은 물론 백성들의 안위를 돌보는 등 임진왜란 기간 동안 국가 안위를 위해 노력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선조가 영창대군을 세자로 책봉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자 임진왜란 동안 많은 공을 세운 광해군이 대북파의 지지를 받아 1608년 왕위에 올랐다. 


광해군은 왕위에 오르는 과정에서 갈등을 빚은 영창대군()을 1613년 대북파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서인()으로 삼았고, 영창대군은 강화에 위리안치되었다가 이듬해 살해당하였다. 1618년에는 이이첨() 등의 폐모론에 따라 인목대비()를 서궁(西)에 유폐시켰다. 이러한 정치 행위는 서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서인 주도의 반정()에 의해 폐위당하였다. 

비록 인조반정()에 의해 폐위되었지만 1608년 선혜청()을 두어 경기도에 대동법()을 실시하고, 1611년 양전()을 실시하였으며,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한성부의 질서를 회복하고 궁궐 조성공사에 힘을 다하여 창덕궁을 중건하고, 경덕궁(경희궁인경궁을 준공하는 등 많은 업적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때 만주에서는 여진족이 신흥국가로 성장하여 후금()을 건국하고 조선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광해군은 이에 대비하여 성지()와 병기()를 수리하고 군사 양성하는 등 국경방비()에 힘썼다.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여 명에서 원군요청이 있자 강홍립()에게 1만의 병사를 주어 파견함과 동시에 의도적으로 후금에 투항하게 하여 명과 후금사이에서 능란한 외교솜씨를 보였다. 일본과는 기해약조()를 체결하여 임진왜란 이후 중단되었던 외교를 재개하고, 회답겸쇄환사로 오윤겸()을 일본에 파견하여 포로로 끌려갔던 조선인을 쇄환하였다.

서적의 간행에도 힘을 기울여 《신증동국여지승람(輿)》·《용비어천가()》·《동국신속삼강행실()》 등을 다시 간행하고 《국조보감()》·《선조실록()》 등을 편찬하였으며, 적상산성()에 사고()를 설치하였다.

서인이 주동하여 일으킨 인조반정으로 1623년 폐위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도로 옮겨졌다. 오늘날 광해군의 공과()는 양면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붕당()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된 측면이 있다. 묘호는 광해군지묘()로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다.   

 

출처 :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